<헬스케어의 패러다임 변화>
1.0(전염병 예방) -> 2.0(질병 치료로 기대수명 연장) -> 3.0(예방과 관리를 통한 건강수명 연장)
<헬스케어 3.0 시대의 특징>
1. 일상관리화 : 헬스케어의 개념이 병원 치료 중심에서 예방/건강관리 중심으로 발전.
2. 개인맞춤화 : 치료방식이 개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표준처방(블록버스터)에서 유전적 소인과 체질을 고려하는 맞춤치료(니치버스터)로 전환.
3. 진단/치료 미세화 : 진단/치료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조기 진단이 가능하며, 고통을 최소화할수 있는 수술이 일반화.
4. 환자중심화 : 진단에서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에서 환자의 편익과 효용이 극대화될 것.
<헬스케어 3.0 시대의 제약/의료기기/의료서비스 산업>
1. 제약 산업 : 줄기세포 등 맞춤치료제의 상용화로 '니치버스터'가 부상하고 제약-의료서비스 간의 접목이 가속화될 전망. 사전에 약효를 예측할 수 있는 진단제품이 일반화되며 제약회사의 영향력이 진단사업에까지 확대될 것.
2. 의료기기 산업 : IT 융복합 등으로 극미세량 검출, 질병 자동진단, 진단-치료 복합 등 신개념의 디지털 의료기기가 출현하고 있음. 이에 대응하여 부품 및 소프트웨어 유지/보수 분야가 주목받을 것. 한편 헬스케어 전문기술기업이 부상하고, 브랜드력과 마케팅 역량을 갖춘 IT 기업이 개인용 의료기기 시장에 활발하게 진입할 전망.
3. 의료서비스 산업 : 병원을 벗어나 일상 생활 속에서 환자 진단, 치료 등이 가능해지고, 인터넷과 소셜 네트워크가 환자와 공급자 간 소통의 창으로 활용될 것. 의료서비스의 개념이 확대됨에 따라 병원은 예방/관리와 같은 非진료영역을 개척하고, 전통적인 진료 및 병상 확대 전략에서 탈피하여 특정 질환에 특화된 전문병원으로 전환할 것. 또한 차별화된 치료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R&D 투자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.
<헬스케어 3.0시대의 정부/병원/기업의 역할>
1. 정부 : '건강수명 연장'을 헬스케어 정책의 목표로 확립하고 예방의학기술 개발과 비만, 흡연 등의 질환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.
2. 병원 : 전문분야를 선택해 집중 육성하고, 진료 외 분야에서의 사업을 발굴할 필요 있음.
3. 기업 : 니치버스터, 차세대 영상 의료기기 등 신제품/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하고, 소비자의 니즈를 지속적으로 발굴해야.
원문 : http://www.seri.org/db/dbReptV.html?s_menu=0202&pubkey=db20111123001
댓글 없음:
댓글 쓰기